카테고리 없음

[백준/파이썬][Gold V] 용액 - 2467

난쟁이 개발자 2024. 12. 24. 16:28
반응형

[Gold V] 용액 - 2467

문제 링크

성능 요약

메모리: 125416 KB, 시간: 116 ms

분류

이분 탐색, 두 포인터

제출 일자

2024년 8월 25일 07:02:20

문제 설명

KOI 부설 과학연구소에서는 많은 종류의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을 보유하고 있다. 각 용액에는 그 용액의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정수가 주어져있다. 산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양의 정수로 나타내고,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은 -1부터 -1,000,000,000까지의 음의 정수로 나타낸다.

같은 양의 두 용액을 혼합한 용액의 특성값은 혼합에 사용된 각 용액의 특성값의 합으로 정의한다. 이 연구소에서는 같은 양의 두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려고 한다.

예를 들어, 주어진 용액들의 특성값이 [-99, -2, -1, 4, 98]인 경우에는 특성값이 -99인 용액과 특성값이 98인 용액을 혼합하면 특성값이 -1인 용액을 만들 수 있고, 이 용액의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이다. 참고로, 두 종류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나 혹은 두 종류의 산성 용액만으로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혼합 용액을 만드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산성 용액과 알칼리성 용액의 특성값이 정렬된 순서로 주어졌을 때, 이 중 두 개의 서로 다른 용액을 혼합하여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두 용액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전체 용액의 수 N이 입력된다. N은 2 이상 100,000 이하의 정수이다. 둘째 줄에는 용액의 특성값을 나타내는 N개의 정수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오름차순으로 입력되며, 이 수들은 모두 -1,000,000,000 이상 1,000,000,000 이하이다. N개의 용액들의 특성값은 모두 서로 다르고, 산성 용액만으로나 알칼리성 용액만으로 입력이 주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두 용액의 특성값을 출력한다. 출력해야 하는 두 용액은 특성값의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특성값이 0에 가장 가까운 용액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그 중 아무것이나 하나를 출력한다.

풀이

더보기
# 1. 데이터 입력 받기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 2. 투 포인터 준비
left, right = 0, N - 1  # 양 극단

# sol_left, sol_right : 최소값을 만드는 두 수의 인덱스
sol_left = left
sol_right = right
# solution : 현재까지 발견한 두 수의 합의 절대값 중 최소값
solution = abs(arr[left] + arr[right])

# 3. 투 포인터 알고리즘
while left < right :
    tmp = arr[left] + arr[right]    # 지금 섞은 용액의 pH 비교

    if abs(tmp) < solution :        # tmp의 절대값이 solution보다 작을 경우
        sol_left = left         # sol_left 갱신
        sol_right = right       # sol_right 갱신
        solution = abs(tmp)     # solution 갱신

        if tmp == 0 :           # tmp 가 0이면 정답이므로 즉시 루프 중단
            break

    if tmp < 0 :        # tmp < 0 이라면
        left += 1       # left 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else :              # tmp > 0 이라면
        right -= 1      # right 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print(arr[sol_left], arr[sol_right])

1. 입력 및 초기화

# 1. 데이터 입력 받기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 2. 투 포인터 준비
left, right = 0, N - 1  # 양 극단

left : 리스트의 시작 인덱스
right : 리스트의 끝 인덱스

# sol_left, sol_right : 최소값을 만드는 두 수의 인덱스
sol_left = left
sol_right = right
# solution : 현재까지 발견한 두 수의 합의 절대값 중 최소값
solution = abs(arr[left] + arr[right])

sol_left, sol_right : 최소값을 만드는 두 수의 인덱스
solution : 현재까지 발견한 두 수의 합의 절대값 중 최소값


2. 투 포인터 알고리즘

# 3. 투 포인터 알고리즘
while left < right :
    tmp = arr[left] + arr[right]    # 지금 섞은 용액의 pH 비교

두 포인터(left, right)를 사용해 리스트를 탐색, left는 0에서, right는 N-1에서 시작하여 점차 이동
현재 두 포인터가 가리키는 값의 합을 계산

절대값 비교 및 업데이트

if abs(tmp) < solution :        # tmp의 절대값이 solution보다 작을 경우
    sol_left = left         # sol_left 갱신
    sol_right = right       # sol_right 갱신
    solution = abs(tmp)     # solution 갱신

    if tmp == 0 :           # tmp 가 0이면 정답이므로 즉시 루프 중단
        break

현재 합의 절대값이 기존 최소값(solution)보다 작다면 : (0에 더 가깝다면)
    - 최소값과 두 수의 인덱스를 업데이트
    - 합이 0이라면 정답이므로 탐색 중지

포인터 이동

if tmp < 0 :        # tmp < 0 이라면
    left += 1       # left 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else :              # tmp > 0 이라면
    right -= 1      # right 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합(tmp)이 음수라면 left 를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
- 작은 값을 줄이기 위해
합이 양수라면 right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
- 큰 값을 줄이기 위해

이 글을 적으면서 이해가 안 되었던 부분이 해결되었다.

  • sol_left와 sol_right를 쓰는 부분이 이해가 되지 않았다. => 이 부분 때문에 문제 해결 하지 못했음.
    • 최소값을 저장하기 위해 따로 저장을 하였구나. 

생각보다 재밌었던 문제였다고 생각한다. 


투 포인터 vs 이분 탐색

이분 탐색으로도 풀 수 있다.

더보기
# 1. 데이터 입력 받기
N = int(input())
arr = list(map(int, input().split()))

solution = float('inf')
sol_left = sol_right = 0

# 2. 각 원소에 대해 이분 탐색
for i in range(N - 1) :
    curr = arr[i]

    left, right = i + 1, N - 1
    
    # 3. 이분 탐색 구현
    while left <= right :
        mid = (left + right) // 2
        tmp = curr + arr[mid]
    
        # 4. 최소값 갱신
        if abs(tmp) < solution :
            sol_left = i
            sol_right = mid
            solution = abs(tmp)

            if tmp == 0 :
                break
        
        # 5. 포인터 이동
        if tmp < 0 :
            left = mid + 1
        else :
            right = mid - 1

print(arr[sol_left], arr[sol_right])
  1. 투 포인터 알고리즘
    1. 시간 복잡도
      • 리스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 훑으므로 O(N).
      • 정렬된 리스트를 입력받았기 때문에 정렬에 따른 추가 복잡도는 없습니다.
    2. 공간 복잡도
      • 입력 리스트를 그대로 사용하며, 추가 공간 사용은 상수 개수의 변수뿐이므로 O(1).
  2. 이분 탐색 알고리즘
    1. 시간 복잡도 
      1. 외부 루프 : 각 원소에 대해 O(N)
      2. 내부 이분 탐색 : 범위 N에서 절반씩 줄어들기 때문에 O(log N)
      3. 전체 시간 복잡도 : O(N log N)
    2. 공간 복잡도
      1. 추가적인 데이터 구조 없이 상수 개수의 변수만 사용 O(1)

 

대체로 이런 문제를 풀게 되면 이분 탐색으로 많이 풀었는데 투 포인터라는 개념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던 문제였다. 

이분 탐색에 대해서도 공부를 더 해야할 것 같다. 이 문제는 풀이 방법부터 떠올리기 쉽지 않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