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ilver III] 영단어 암기는 괴로워 - 20920
성능 요약
메모리: 139596 KB, 시간: 428 ms
분류
자료 구조,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 정렬, 문자열, 트리를 사용한 집합과 맵
제출 일자
2024년 9월 10일 16:10:16
문제 설명
화은이는 이번 영어 시험에서 틀린 문제를 바탕으로 영어 단어 암기를 하려고 한다. 그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영어 단어를 외우기 위해 영어 단어장을 만들려 하고 있다. 화은이가 만들고자 하는 단어장의 단어 순서는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를 차례로 적용하여 만들어진다.
- 자주 나오는 단어일수록 앞에 배치한다.
- 해당 단어의 길이가 길수록 앞에 배치한다.
- 알파벳 사전 순으로 앞에 있는 단어일수록 앞에 배치한다
$M$보다 짧은 길이의 단어의 경우 읽는 것만으로도 외울 수 있기 때문에 길이가 M이상인 단어들만 외운다고 한다. 화은이가 괴로운 영단어 암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단어장을 만들어 주자.
입력
첫째 줄에는 영어 지문에 나오는 단어의 개수 N과 외울 단어의 길이 기준이 되는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주어진다. (1≤N≤100,000, 1≤M≤10)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외울 단어를 입력받는다. 이때의 입력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주어지며 단어의 길이는 10을 넘지 않는다.
단어장에 단어가 반드시 1개 이상 존재하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화은이의 단어장에 들어 있는 단어를 단어장의 앞에 위치한 단어부터 한 줄에 한 단어씩 순서대로 출력한다.
풀이
단어의 길이가 M보다 작으면 패스. 딕셔너리의 키-값 특성을 활용하여 딕셔너리에 등장 횟수를 저장하였다.
이 딕셔너리를 (키, 값) 튜플형태로 리스트로 옮긴 다음, sort 메서드를 통하여
- 등장 횟수가 많을수록
- 단어 길이가 길수록
- 알파벳 순으로
정렬한 후, 키 값만 리턴하였다.
더보기
N, M = map(int, input().split())
words = {} # Counter 할 딕셔너리 생성
lst = [] # 단어장
for _ in range(N) :
S = input()
if len(S) < M : # S의 길이가 M 미만이면
continue
if S not in words :
words[S] = 1
else :
words[S] += 1
for word, val in words.items() :
lst.append((word, val))
# 1. 등장 횟수가 많을수록
# 2. 단어 길이가 길수록
# 3. 알파벳 순으로
lst.sort(key=lambda x:(-x[1], -len(x[0]), x[0]))
for w in lst :
print(w[0])
반응형
'대기업 코테 유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파이썬][Gold IV] N-Queen - 9663 (0) | 2024.11.21 |
---|---|
[프로그래머스/파이썬][level 3] 다단계 칫솔 판매 - 77486 (4) | 2024.11.15 |
(백준/파이썬) [Silver III] 주유소 - 13305 (1) | 2024.09.09 |
(백준/파이썬) [Silver IV] 카드2 - 2164 (1) | 2024.09.08 |
(백준/파이썬) [Silver IV] 어두운 굴다리 - 17266 (1)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