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나날이 전세계의 선두 산업이라고 생각이 든다. 요즘 미국 주식 시장을 봐도 엔비디아,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AI를 다루거나, 아마존 등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들의 약진이 예사롭지 않았다. 이미 몇년 전부터 이 기업들은 빅테크로 묶이면서 이미 많은 상승을 이루었다고 생각했지만, 이제 시작에 불과하였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을 공부하는데 수학을 왜 배워야 할까? 인공지능 구현에서 가장 유용한 수학 주제를 보자면,
- 미적분
- 선형대수
- 최적화
- 확률
- 통계
인간지능은 인지, 시각, 모국어를 활용한 의사소통, 추론, 의사 결정, 협업, 공감, 주변환경 모델링과 처리, 인구와 세대에 걸친 기술과 지식 이전, 타고난 기술과 학습된 기술을 활용하여 미지의 영역으로 일반화할 때 드러난다.
최근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3가 단백질구조 연구에 엄청난 시간 단축을 불러오면서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요즘 날이 갈수록 인공지능의 발전에 무서움을 느끼면서 나도 이 흐름에 탑승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는 이런 빠른 속도의 기술의 발전을 즐기면서 동시에 경계해야 한다고 책에서 설명한다. 그렇다. 우리가 기술에 너무 심취하다 보면 본질을 놓치게 되고 우리가 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잡아 먹히게 된다. 우리가 인공지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결국 내가 무엇을 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철학을 올바르게 세우고 보조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인간이 되도록 노력하려고 한다.
반응형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를 위한 필수 수학] 3. 데이터에 함수를 최적화시키는 방법 (1) | 2024.11.24 |
---|---|
[AI를 위한 필수 수학] 2. 데이터, 데이터, 또 데이터 (1) | 2024.11.23 |
[AI를 위한 필수 수학] (2) | 2024.11.20 |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5. 하늘 위에서 기도를 (4) | 2024.11.20 |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4. 묵도는 비틀즈로 (2) | 2024.11.19 |